안녕하세요, 그동안 본업이 아닌 부업에 관심이 많아
글도 올려보고, 카카오 뷰도 해보고, 나가서 쿠팡 알바도 해보고~
그렇게 이것 저것 시도를 하며 지내고 있었습니다.
그러다가...!!!! 주말이 돼서야 새로운 현장에 사무실을 세팅을 하고,
이제 원래 본업으로 돌아와 다시 일을 하기 시작하려 준비를 하다가
내 본업이 무엇이었는지 깨닫는 상황입니다...ㅋㅋㅋ
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제 일을 하다가 장비 제원표 보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.
저번 포스팅에 잠깐 말씀드렸듯이 저는 PC( 프리캐스트 콘크리트) 일을 하고 있습니다.
저는 보통 하이드로 크레인과 크롤러 크레인 두 가지 장비를 많이 쓰는 일을 합니다.
장비 제원표를 볼 줄 알고, 이를 현장에 적용할 줄 안다면, 이 현장일을 함에 있어서
대우도 받고, 대우를 받는다는 것은 급여와 너무나도 직접적으로 연결이 됩니다.
이거 하나만 할 줄 알고 볼 줄 알아도, 직급이 달라지고 하는 일이 달라진답니다.
일단 위에 8가지 중에 자기 현장에 적합한 모양을 찾아봅니다.
보통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SLN입니다.
이동도 가능하고 , 넓은 작업 반경을 소화할 수 있습니다.
위에 그림에서 보시면 아래쪽에 빨간색 밑줄이 작업 반경,
우측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작업높이를 말합니다.
크롤러 바디에서 올라가는 앵글을 MAIN BOOM이라고 하며,
80M 부분에 연결되는 부분을 보통 LUFFING BOOM이라 말합니다.
위 제원표에서는 숫자 순서대로 보시면 되는데 예를 들어 봤습니다.
① 메인 붐을 56M / ② 럭핑을 63M로 장비를 세팅했을 때,
저희는 ③ 40M 반경에서 ④31.5 TON의 중량을 인양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기본적으로 장비 제원표를 먼저 확인 후 이걸 도면에 적용해보면 됩니다.
도면에 적용을 하고 도면을 받아서 확인을 하고 싶어도 지금 이 단계를 모른다면
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장비 제원표 보는 방법이라던지, 중량별 장비 제원표가 필요하신 분은 언제든
도와드릴 수 있으니, 궁금한 점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.
다음 포스팅은 PC(프리캐스트 콘크리트) 조립 평면도에 이 장비제원을 적용하는
방법을 간단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고소득 알바 or 고소득 일자리 일명 노가다...
언제든 열려있으니 도전해 보실 분들은 도전하시길 바랍니다.!!
'김과장입니다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박중독에서 벗어나는 5가지방법. (0) | 2022.09.05 |
---|---|
돈 많이 주는 알바. 반도체 건설현장 일하기(장비제원표 적용하기) (0) | 2022.03.14 |
돈 많이 주는 알바. 반도체 건설현장 일하기(관리자편) (2) | 2022.03.03 |
돈 많이 주는 알바. 반도체 건설현장 일하기(조공편) (0) | 2022.03.02 |
댓글